정치 분류
실체 드러나는 北강선단지…우라늄농축 능력, 영변의 2배?
작성자 정보
- 최고관리자 작성
- 작성일
본문
하노이 노딜 당시 트럼프, 김정은에 영변 외에 5곳 지목IAEA총장 김정은 방문한 농축시설은 강선…심각한 우려트럼프와 김정은 (CG)[연합뉴스TV 제공](서울=연합뉴스) 이우탁 기자 = 2019년 2월28일 베트남 하노이에서 진행된 2차 북미정상회담은 미국과 북한 사이에 이른바 빅딜이 성사될 것으로 예상돼 세계인들의 관심이 집중됐다.
하지만 협상은 미국에 의해 일방적으로 결렬됐다.
당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협상 결렬 뒤 숙소인 하노이 JW메리어트 호텔에서 기자회견을 했는데, 영변 핵 시설 이외의 다른 장소에서도 북한이 핵시설을 가동하고 있음을 미국이 발견했다고 전격 공개했다.
2020년 9월 출간된 밥 우드워드의 격노(Rage)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영변 핵시설의 해체를 고리로 대북 제재 해제 등을 요구하자 1∼4개는 아무 도움이 안 된다.
5개는 도움이 된다며 곧바로 회담장을 박차고 나왔다.
김 위원장은 1개의 핵시설은 닫을 준비가 돼 있었지만, 5개의 핵시설을 보유하고 있었다고 우드워드는 덧붙였다.
트럼프 대통령이 지목한 5곳에는 강선 단지도 포함돼있다.
트럼프는 회견에서 미국이 알고 있었다는데 대해 북한이 놀랐던 것 같다고 말하기도 했다.
라파엘 그로시 국제원자력기구(IAEA) 사무총장은 20일(현지시간) 오스트리아 빈에서 열린 이사회 모두발언에서 지난 9월 김정은 위원장이 방문했던 고농축우라늄(HEU) 제조시설이 강선 단지로 보인다고 밝혔다.
강선우라늄 농축시설(CG)[연합뉴스TV 제공]그로시 총장은 김 위원장 방문 장면을 담은 사진을 분석한 결과 원심분리기 캐스케이드(연속 농축을 위해 원심분리기 다수를 연결한 설비)와 인프라가 원심분리기 농축시설의 배치, 강선 복합단지의 본관구조 및 새로 지어진 별관과 일치한다고 설명했다.
지난 9월13일 북한 조선중앙통신은 김정은 위원장이 무기급 핵물질 생산시설을 현지 지도했다면서 HEU 제조시설을 공개했지만 해당시설이 어디에 있는 지는 밝히지 않았다.
그로시 총장의 발언은 하노이 노딜 이후 5년여 만에 강선 단지의 존재를 공식 확인한 의미가 있다.
그로시 총장은 강선의 미신고 농축 시설 공개와 김정은의 무기급 핵물질 생산기반 강화 지시는 심각한 우려사항이라고 지적했다.
김정은, 핵무기연구소·무기급핵물질생산기지 현지지도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핵무기연구소와 무기급 핵물질 생산시설을 현지지도하고 무기급 핵물질 생산에 총력을 집중해 비약적인 성과를 낼 것을 지시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9월 13일 보도했다.
[평양 조선중앙통신-연합뉴스 자료사진. 재배포 및 DB 금지]김정은은 9월 현지시찰에서 빽빽하게 들어선 원심분리기 모습을 보며 보기만 해도 힘이 난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강선 단지의 우라늄 농축 능력에 주목하고 있다.
지난 2018년 미국 언론은 강선 시설의 우라늄 농축 규모가 영변의 2배에 달한다고 보도한 적이 있다.
한미 전문가들은 북한이 강선과 영변의 우라늄 농축 시설에서만 원심분리기 1만-1만2천개 가량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통상 2천개의 원심 분리기에서 연간 40kg의 HEU를 생산할 수 있다는 것을 고려하면 대략 매년 200~240kg의 HEU를 확보할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게다가 북한은 강선 단지의 시설 규모를 지속적으로 확장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로시 총장은 지난 6월 IAEA 정기이사회에서 올 2월 말 강선 단지의 별관 공사가 시작돼 시설 가용 면적이 크게 확장됐다고 밝혔다.
결국 영변 뿐 아니라 강선 단지에서 무기급 HEU가 계속 생산되는 것은 북한의 핵능력 고도화를 가능하게 할 중대위협 요소가 된다.
특히 HEU의 경우 대부분 지하시설에 설치가 가능해 한미 정보자산이 포착하기 어려운 특징이 있다.
그로시 사무총장은 이번 모두 발언에서 미신고 농축시설 공개, 경수로의 지속적인 시운전을 포함한 북한 핵 프로그램 지속 및 추가 개발은 관련 유엔 안보리 결의의 명백한 위반이라고 강조했지만 이를 막을 실효적 수단은 현실적으로 찾기 어려운 상황이다.
영변 말고 또... 北우라늄 농축시설 의심장소 발견(CG)[연합뉴스TV 제공]여기에 2019년 하노이에서 트럼프 당시 미국 대통령이 북한의 핵시설 단지를 5곳으로 제시한 만큼 영변과 강선 단지 외에도 제3의 핵시설이 은밀하게 가동하고 있다는 추론이 가능하다.
결국 북한의 핵위협은 김정은 위원장의 발언처럼 기하급수적으로 악화되는 형국이다.
lwt@yna.co.kr
하지만 협상은 미국에 의해 일방적으로 결렬됐다.
당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협상 결렬 뒤 숙소인 하노이 JW메리어트 호텔에서 기자회견을 했는데, 영변 핵 시설 이외의 다른 장소에서도 북한이 핵시설을 가동하고 있음을 미국이 발견했다고 전격 공개했다.
2020년 9월 출간된 밥 우드워드의 격노(Rage)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영변 핵시설의 해체를 고리로 대북 제재 해제 등을 요구하자 1∼4개는 아무 도움이 안 된다.
5개는 도움이 된다며 곧바로 회담장을 박차고 나왔다.
김 위원장은 1개의 핵시설은 닫을 준비가 돼 있었지만, 5개의 핵시설을 보유하고 있었다고 우드워드는 덧붙였다.
트럼프 대통령이 지목한 5곳에는 강선 단지도 포함돼있다.
트럼프는 회견에서 미국이 알고 있었다는데 대해 북한이 놀랐던 것 같다고 말하기도 했다.
라파엘 그로시 국제원자력기구(IAEA) 사무총장은 20일(현지시간) 오스트리아 빈에서 열린 이사회 모두발언에서 지난 9월 김정은 위원장이 방문했던 고농축우라늄(HEU) 제조시설이 강선 단지로 보인다고 밝혔다.
강선우라늄 농축시설(CG)[연합뉴스TV 제공]그로시 총장은 김 위원장 방문 장면을 담은 사진을 분석한 결과 원심분리기 캐스케이드(연속 농축을 위해 원심분리기 다수를 연결한 설비)와 인프라가 원심분리기 농축시설의 배치, 강선 복합단지의 본관구조 및 새로 지어진 별관과 일치한다고 설명했다.
지난 9월13일 북한 조선중앙통신은 김정은 위원장이 무기급 핵물질 생산시설을 현지 지도했다면서 HEU 제조시설을 공개했지만 해당시설이 어디에 있는 지는 밝히지 않았다.
그로시 총장의 발언은 하노이 노딜 이후 5년여 만에 강선 단지의 존재를 공식 확인한 의미가 있다.
그로시 총장은 강선의 미신고 농축 시설 공개와 김정은의 무기급 핵물질 생산기반 강화 지시는 심각한 우려사항이라고 지적했다.
김정은, 핵무기연구소·무기급핵물질생산기지 현지지도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핵무기연구소와 무기급 핵물질 생산시설을 현지지도하고 무기급 핵물질 생산에 총력을 집중해 비약적인 성과를 낼 것을 지시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9월 13일 보도했다.
[평양 조선중앙통신-연합뉴스 자료사진. 재배포 및 DB 금지]김정은은 9월 현지시찰에서 빽빽하게 들어선 원심분리기 모습을 보며 보기만 해도 힘이 난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강선 단지의 우라늄 농축 능력에 주목하고 있다.
지난 2018년 미국 언론은 강선 시설의 우라늄 농축 규모가 영변의 2배에 달한다고 보도한 적이 있다.
한미 전문가들은 북한이 강선과 영변의 우라늄 농축 시설에서만 원심분리기 1만-1만2천개 가량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통상 2천개의 원심 분리기에서 연간 40kg의 HEU를 생산할 수 있다는 것을 고려하면 대략 매년 200~240kg의 HEU를 확보할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게다가 북한은 강선 단지의 시설 규모를 지속적으로 확장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로시 총장은 지난 6월 IAEA 정기이사회에서 올 2월 말 강선 단지의 별관 공사가 시작돼 시설 가용 면적이 크게 확장됐다고 밝혔다.
결국 영변 뿐 아니라 강선 단지에서 무기급 HEU가 계속 생산되는 것은 북한의 핵능력 고도화를 가능하게 할 중대위협 요소가 된다.
특히 HEU의 경우 대부분 지하시설에 설치가 가능해 한미 정보자산이 포착하기 어려운 특징이 있다.
그로시 사무총장은 이번 모두 발언에서 미신고 농축시설 공개, 경수로의 지속적인 시운전을 포함한 북한 핵 프로그램 지속 및 추가 개발은 관련 유엔 안보리 결의의 명백한 위반이라고 강조했지만 이를 막을 실효적 수단은 현실적으로 찾기 어려운 상황이다.
영변 말고 또... 北우라늄 농축시설 의심장소 발견(CG)[연합뉴스TV 제공]여기에 2019년 하노이에서 트럼프 당시 미국 대통령이 북한의 핵시설 단지를 5곳으로 제시한 만큼 영변과 강선 단지 외에도 제3의 핵시설이 은밀하게 가동하고 있다는 추론이 가능하다.
결국 북한의 핵위협은 김정은 위원장의 발언처럼 기하급수적으로 악화되는 형국이다.
lwt@yna.co.kr
관련자료
-
이전
-
다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